UNI-PASS 소개
UNI-PASS 소개
UNI-PASS란? 대한민국 관세청의 전자통관시스템의 브랜드명으로,
현재 관세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업무처리 정보시스템(통관, 화물, 징수시스템 등)을 총칭합니다.

전자통관시스템 UNI-PASS는 국제관세환경의 변화와 IT기술의 발전을 적극 수용하여 사용자와 함께 만들어 온 관세행정정보화의 결정체입니다.
UNI-PASS 시스템은 완벽한 경제국경관리(Customs Border Protect)를 목적으로 수출입물품에 대한 정확하고 공평한 과세를 통해 국가재정 확보에 기여하고,
밀수단속 및 외환관리를 통해 대외교역 질서를 유지하며, 신속통관 및 FTA 업무관리를 통해 국내산업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입니다.

기대효과
  • 업무 편의성 증대
    • ㆍ신고 데이터 정보 활용
    • ㆍ프로세스 전자화
    • ㆍ100% 전자 서류로 문서 유통
  • 효율적 시스템
    • ㆍ통합·단순·경량화 시스템
    • ㆍ데이터 표준화
    • ㆍ높은 보안성
  • 고객 만족도 상승
    • ㆍ유무선 Any Device 활용 가능
    • ㆍ24시간 365일 무중단 서비스
    • ㆍ실시간 맞춤형 서비스 제공
  • 최적의 운영 체계
    • ㆍ지능형 통합 위험관리
    • ㆍ민·관 협력 체계
    • ㆍ디지털화된 세관으로 조직 효율화
세대
  • 1세대[1th Generation(1974) Simple On-Line Statistics(Simple Statistics)

    도입된 최초 IT 시스템은 한국 관세청이 개발한 단순 통계 툴로 관세 통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었다.

  • 2세대[2th Generation(1994) EDI Clearance system(Business automation)

    EDI를 기반으로 한 UNI-PASS 시스템의 시초로 1994년 최초 자동화된 전자통관 시스템을 단계별로 개발하였다.
    수출입 통관(1996), 화물관리(1997), Paperless 통관(1998) 그리고 조사시스템 (1999)이 개발되었다.
    CDW(2001), 지식관리시스템(2001), 위험관리 시스템(2003) 등 지원 솔루션들도 UNI-PASS에 추가되었다.

  • 3세대[3th Generation(2004)Internet Clearance system(Business Enhancement)

    Web 방식의 UNI-PASS 시스템은 기존 EDI 시스템을 웹 방식으로 단계적 전환을 진행하였으며 인터넷 포털(2004), 징수 시스템(2004), 관세환급 시스템(2005),
    단일창구 시스템(2005), 성과 관리 시스템(2005)을 추가 개발하였다. UNI-PASS 시스템은 항공화물관리 시스템(2007)에 RFID와 같은 최첨단 IT 기술을
    지속적으로 적용하였으며 AEO 관리 시스템(2008)과 통합위험관리 시스템 (2011) 등을 추가 개발하고 고도화시켰다.

  • 4세대[4th Generation(2016) Smart Clearance system(Business Intelligence)

    2016년 이후 UNI-PASS 시스템은 4세대로 전환하여 Mobile 개념을 도입하여 스마트 통관을 바탕으로 한 지능형 관세행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.